비상 계엄 선포 보면서 생각난 성 어거스틴과 벤 앤셀
성 어거스틴의 <고백론>과 벤 앤셀의 <정치는 왜 실패하는가>는 인간 사회에서 의견 차이와 갈등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해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 어거스틴은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 의견의 불일치를 통해 전체의 의견 일치를 자주 이루는 것 " 과 " 서로 가르치고 배우는 것 " 을 강조한다 . 이러한 태도는 단순히 개인 간의 우정에만 국한되지 않고 , 민주주의와 정치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에도 중요한 교훈을 준다 . 벤 앤셀의 정치는 왜 실패하는가에서는 민주주의의 주요 문제로 양극화 , 기술의 오용 , 그리고 집단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실패하는 개인적 이기심을 지적한다 . 이와 같은 민주주의의 병폐는 다수가 자신의 의견만을 고집하거나 상대의 의견을 기분 나쁘게 받아들이는 태도에서 비롯된다 . 이는 결국 정치적 기능의 위축과 민주주의의 기반 약화로 이어진다 . 12 월 3 일 발생한 윤석열 대통령의 반민주적 비상계엄 선포와 그에 대한 정치적 갈등은 이러한 문제의 극단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 이에 앞선 여야의 극단적 대립은 각자의 주장만을 앞세우며 서로를 적대하는 태도에서 비롯되었다 . 이는 성 어거스틴이 강조한 " 기분 나쁜 감정을 품지 않고 , 의견의 불일치를 통해 전체의 조화를 이루는 " 방법과는 정반대의 행태이다 . 정치적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거스틴의 고백론에서 제시된 " 서로 가르치고 배우며 , 의견 차이를 통해 더 큰 합의를 도출하려는 태도 " 가 필요하다 . 예를 들어 , 여야는 서로의 입장을 적으로 간주하기보다는 , 각자의 우려와 논점을 진지하게 듣고 이를 바탕으로 상호 이해를 증진해야 한다 . 이러한 과정은 단순히 말로만 그치지 않고 , 구체적인 제도와 규범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