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니발의 웃음, 패장이 왜 그랬을까? Hannibal's laugh, why was he defeated like that?

 플루타르코스영웅전(신복룡 옮김, 을유문화사) 한니발(기원전 247~183) 편은 플루타르코스가 지은 게 아니다

그가 쓴 한니발전은 유실되었다

후대 역사가가 이를 보충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한니발의 웃음이란 대목이 나온다.

The section on Hannibal (247-183 BC) in Plutarch's Lives (translated by Shin Bok-ryong, Eulyoo Publishing Co.) was not written by Plutarch. His account of Hannibal's life was lost. It seems that a later historian supplemented it. This is where the part about Hannibal's laughter comes from.

                   <chatgpt 생성>

한니발은 고대 카르타고의 가장 위대한 장군 중 한 명으로, 그의 전략과 용기는 역사의 전투 속에서 오랫동안 회자되어 왔다

하지만 그와 함께 떠오르는 또 하나의 상징적 장면은 패배 이후 보였다는 '웃음'이다.

Hannibal was one of the greatest generals of ancient Carthage, and his strategy and courage have long been remembered in battles throughout history. But another iconic scene that comes to mind is the 'laughter' he is said to have seen after his defeat.


한니발은 최종적으로 패배한 전장은 지금의 튀니지에서 벌어진 자마전투이다

이는 BC 2021019, 카르타고의 장군 한니발과 로마의 장군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격돌한 결전이자 제2차 포에니 전쟁을 종결짓는 전투이다

이 전투에서 로마군은 수적 열세를 뒤집고 카르타고군을 전멸시키는 대승을 거두었다

he battle where Hannibal was ultimately defeated was the Battle of Zama, which took place in present-day Tunisia. It was a decisive battle between the Carthaginian general Hannibal and the Roman general Scipio Africanus on October 19, 202 BC, and it was the battle that ended the Second Punic War. In this battle, the Roman army overcame its numerical disadvantage and won a great victory, annihilating the Carthaginian army.


특히 지중해 최강의 군대인 한니발 직속 부대를 모조리 전멸시켜 훗날 한니발의 셀레우코스 제국 망명에도 영향을 끼친다

한니발과 스키피오 모두 고대를 통틀어서 최고의 명장들인 데다가 지중해 세계의 패권을 두고 벌인 포에니 전쟁의 가장 중요한 전투 중 하나로, 실제 활용된 전술 역시 명장이라는 이름이 아깝지 않을 전투로 알려져 있다.

In particular, it completely annihilated Hannibal's direct troops, the strongest army in the Mediterranean, and later influenced Hannibal's exile to the Seleucid Empire. Both Hannibal and Scipio were considered the greatest generals of all time, and it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battles of the Punic Wars, which were fought for supremacy in the Mediterranean world. The actual tactics used in the battle were also known to be worthy of the name of a great general.


카르타고는 이후 로마에 굴복해 조공을 바치게 된다

전쟁을 주장하는 한니발의 의견이 무시되고 주화파들이 득세했던 것이다

조공을 바치는 날이 되자 눈물을 흘리는 카르타고인들을 보고 한니발은 웃었다고 한다

이 웃음은 단순한 기쁨이나 즐거움의 표현이 아니라, 그가 자신의 조국 카르타고에 대해 품고 있었던 깊은 실망과 경멸에서 비롯된 것이다

기록에 따르면, 조국 카르타고 시민들이 로마에 대한 지불금에 대해 눈물을 흘릴 때, 한니발은 그들의 나약함을 보며 어이없어 웃었다고 한다

이는 단순한 조소가 아닌, 카르타고가 물질적 손실보다 더 큰 정신적 패배에 빠졌음을 통찰한 순간이었다.

Carthage later surrendered to Rome and paid tribute. Hannibal's argument for war was ignored and the peace party gained power. It is said that Hannibal laughed when he saw the Carthaginians shedding tears on the day of tribute payment. This laughter was not a simple expression of joy or pleasure, but rather a result of the deep disappointment and contempt he felt for his own country, Carthage. According to the records, when the citizens of his own country, Carthage, shed tears over the payment to Rome, Hannibal laughed in bewilderment at their weakness. This was not mere ridicule, but a moment of insight that Carthage had suffered a spiritual defeat greater than its material loss.


한니발은 평생을 전쟁터에서 보냈다

그에게 있어 전쟁은 영광의 길이자 삶의 방식이었으며, 물질적 손실은 군사적 가치나 명예에 비하면 사소한 문제였다

카르타고 시민들의 울부짖음은 그에게 비겁함과 나약함으로 비춰졌고, 그의 웃음은 그들의 감정적 반응을 경멸하는 표현이었다

그는 말하길, 카르타고 시민들이 자신들의 지갑이 털리는 것을 두고 비통해할 뿐, 진정한 명분이나 영예에 대한 가치는 잊었다고 비판했다

그의 웃음은 카르타고의 쇠락과 그 시민들이 보여준 나약함을 경멸하는 냉소적 표정이었다.

 Hannibal spent his whole life on the battlefield. For him, war was a way of life and a way of life, and material losses were trivial compared to military value and honor. The cries of the Carthaginian citizens were to him cowardice and weakness, and his laughter was an expression of contempt for their emotional reactions. He criticized the Carthaginian citizens for lamenting the loss of their purses, but forgetting the true value of cause or honor. His laughter was a cynical expression of contempt for the decline of Carthage and the weakness of its citizens.

 

자마 전투에서 패배한 한니발은 로마의 추적을 피해 동쪽으로 망명했다

그는 셀레우코스 왕국의 안티오코스 대왕에게 피신하였으나

로마는 그를 끝까지 쫓아갔다. 특히 한니발의 최후를 재촉한 인물 중 하나는 로마의 장군 플라미니우스(Titus Quinctius Flamininus)였다.

플라미니우스는 로마의 고위 정치인이자 군사 지휘관으로, 한니발의 망명 생활을 지속적으로 압박했다. 

 After his defeat at the Battle of Zama, Hannibal fled eastward to escape the pursuit of the Romans. He sought refuge with Antiochus the Great of the Seleucid kingdom, but the Romans pursued him to the end. One of the people who particularly hastened Hannibal’s demise was the Roman general Flamininus (Titus Quinctius Flamininus). Flamininus was a high-ranking Roman politician and military commander who continually pressured Hannibal to live in exile.


플라미니우스는 한니발이 망명 중이던 비티니아 왕국에 지속적으로 압력을 가해, 그를 로마에 넘기도록 요구했다

특히 비티니아의 왕 프루시아스가 한니발을 보호하던 시기, 플라미니우스는 로마의 강력한 외교적 영향력을 통해 한니발을 인도하라고 협박했다

결국 한니발은 자신이 로마에 넘겨질 위기에 처했음을 깨닫고, 스스로 독약을 마시고 자결했다

그는 끝까지 로마에 굴복하지 않기 위해 스스로 목숨을 끊는 방법을 택했으며, 그의 죽음은 로마에 대한 최후의 저항이었다.

Flaminius continued to pressure the Kingdom of Bithynia, where Hannibal was in exile, to hand him over to Rome. In particular, at a time when King Prusias of Bithynia was protecting Hannibal, Flaminius used Rome's powerful diplomatic influence to threaten Hannibal into handing him over. Finally, Hannibal realized that he was in danger of being handed over to Rome, so he drank poison and committed suicide. He chose to take his own life in order to never surrender to Rome, and his death was the last resistance against Rome.


플라미니우스는 단순히 한니발을 추적하는 것 이상의 역할을 했다

그는 로마의 패권을 지키고, 한니발과 같은 강력한 적을 제거함으로써 로마의 힘을 공고히 했다.

그의 압박과 외교적 능력은 한니발의 최후를 재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로마의 적들을 철저히 제거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인물로 평가된다.

Flaminius did more than simply pursue Hannibal. He secured Roman supremacy and consolidated Roman power by eliminating powerful enemies like Hannibal. His pressure and diplomatic skills played a major role in hastening Hannibal's demise, and he is considered a key figure in the thorough elimination of Rome's enemies.


한편 노령에다가 힘도 없는 한니발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게 잔인했다는 비판도 뒤따랐다

플라미니우스의 아버지가 한니발과의 전투에서 죽었다는 사적인 복수심이 그런 집요감으로 작용한 것일까.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lso criticism that it was cruel to drive the old and weak Hannibal to death. Was it because of Flaminius's personal revenge for the death of his father in battle with Hannibal that he was so persistent?

 

 

댓글

가장 많이 본 글